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획] 게임 개발 기조 설정: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카테고리 없음

by 강자이 2024. 6. 28. 20:43

본문

핵심 역량

커뮤니케이션

  • 서로의 생각을 이해하고 "함께 가고자 하는 방향"(기조) 으로 합쳐나가는 것.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게임 개발에서 기획자의 주요 역할 중 하나는 팀 내외의 모든 구성원들과 원활하게 소통하여 프로젝트의 방향을 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아이디어를 주고 받는 것을 넘어서, 모든 구성원이 하나로 합쳐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각 구성원이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하고, 그것을 통해 프로젝트의 성공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인 의식: 의견 수용과 존중

각 구성원들이 플로젝트에 제안하는 의견들이 수용되거나, 존중 받고 있다고 느낄 때 생긴다.

 

기조 설정의 중요성

게임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기조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기조란 프로젝트가 달성하고자 하는 최종 목표를 의미하며, 이는 가능한 모든 구성원이 동의할 수 있어야 하며 쉽게 변경되지 않아야 합니다. 기조 설정은 프로젝트의 초반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팀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고 의견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좋은 기조를 만들기 위한 기반

  1. 리더십의 중요성
    • 논의를 주도할 리더가 필요하다.
    • 리더는 전략적으로 의견을 조율하고, 팀원들이 합의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2. 기조 설정의 시기
    • 기조는 프로젝트의 기둥이 되므로 초기에 세워져야 한다.
    • 추상적인 단계에서 의견 합치기가 가장 쉽다.

 

기조 설정 아젠다

💡 주요 아젠다

  1. 게임의 핵심 요소 결정
    • 실력 vs 운 vs 성장: 각 요소가 게임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의한다.
    • 예를 들어, 게임에서 실력이 중요한지, 아니면 운이나 성장 요소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2. 타겟층 고려
    • 하드코어 vs 캐주얼: 게임의 난이도와 플레이 시간을 결정한다.
    • 게임의 타겟층이 누구인지를 명확히 하고, 그에 따른 게임의 난이도와 플레이 스타일을 설정해야 한다.
  3. 게임 플레이 방식
    • 피지컬 vs 뇌지컬: 게임의 플레이 방식에 필요한 능력을 정의한다.
    • 게임이 요구하는 플레이어의 능력이 물리적인 것인지, 아니면 전략적이고 지적인 것인지를 결정한다.

 

 

기조 베이스 의사소통 예시

프로젝트에서 다양한 의견이 충돌할 수 있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체 팀이 수용할 수 있는 방향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성원들의 캐릭터를 게임에 반영하는 방법을 통해 개인의 아이디어를 게임의 일부로 통합시키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게임 개발에서는 기획자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모든 구성원이 하나로 합쳐지고, 프로젝트에 대한 주인 의식을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좋은 게임 기조를 설정하고, 그것을 토대로 팀원들과의 소통을 원활히 이어가는 것이 성공적인 게임 개발의 핵심입니다.

댓글 영역